맨위로가기

민물 새우 양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물 새우 양식은 징거미새우속에 속하는 새우를 대상으로 하며, 2000년까지는 큰징거미새우가 주로 양식되었으나, 이후 일본민물새우와 몬순징거미새우도 양식되기 시작했다. 큰징거미새우는 유생 단계에서 기수 환경이 필요하며, 수컷은 형태에 따라 공격적인 서열을 가진다. 동남아시아에서 시작된 민물 새우 양식은 바다 새우 양식 기술과 유사하며, 낮은 양식 밀도와 수컷 간의 경쟁으로 인해 관리가 필요하다.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는 환경적 영향이 바다 새우 양식보다 덜하다고 평가하며, 2003년에는 중국이 가장 많은 민물 새우를 생산했다. 한국에서는 건강 식품 및 낚시 미끼 수요 증가로 양식 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스마트 양식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식업 - 수산양식
    수산 양식은 수생 생물을 인공적으로 사육하여 식량 생산, 해양 생태계 복원, 경제적 이익 창출 등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며, 다양한 품종과 여러 방식이 사용되지만,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 양식업 - 바다 새우 양식
    바다 새우 양식은 새우를 인공적으로 길러 식용으로 생산하는 산업으로, 생애 주기, 양식 방법, 공급망 등을 거쳐 이루어지며, 환경 및 사회적인 문제와 함께 지속 가능한 양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민물 새우 양식
민물 새우 양식
양식 중인 마크로브라키움 로젠베르기
양식 중인 마크로브라키움 로젠베르기
학문적 분류
왕국동물
절지동물
아문갑각류
연갑강
십각목
장수 새우과
마크로브라키움
학명Macrobrachium rosenbergii
한국어명로젠베르그 새우

2. 양식 종

오늘날 양식되는 민물 새우는 대부분 징거미새우속에 속한다.[1] 2000년 이전에는 큰징거미새우(말레이시아 새우라고도 함)가 유일한 양식 종이었다.[1] 2000년 이후 중국에서 일본민물새우를 대량으로 양식하기 시작했고, 인도에서는 몬순징거미새우를 소량 양식한다.[1] 2003년 기준, 큰징거미새우가 전체 생산량의 약 2/3, 일본민물새우가 1/3을 차지했다.[1] 징거미새우속에는 약 200여 종이 있으며, 유럽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열대아열대 기후에 서식한다.[1]

3. 큰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rosenbergii'')의 생태

큰징거미새우는 탁한 민물에서 서식하지만, 유생 단계에서는 기수에서 성장해야 한다. 수컷은 최대 32cm, 암컷은 최대 25cm까지 자랄 수 있다. 짝짓기를 할 때 수컷은 암컷의 흉부 아래, 걷는다리 사이에 정포(정자 주머니)를 방출한다. 암컷은 산란하면서 정포를 통과시켜 수정시킨다. 암컷은 수정란을 품어 부화시키며, 부화까지는 보통 3주가 걸린다. 큰 암컷은 최대 10만 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알에서 부화한 조에아는 여러 단계를 거쳐 후기유생(postlarva)으로 변태하며, 이 과정은 약 32~35일이 걸린다. 후기유생은 몸길이 약 0.8cm 정도이며 성체의 모든 특징을 갖추고 민물로 이동하여 성장한다.

3. 1. 수컷의 형태형

수컷 큰징거미새우는 세 가지 형태형을 가진다. 첫 번째는 "작은 수컷"(SM)으로, 집게가 짧고 거의 반투명하다. 작은 수컷은 조건이 좋으면 성장하여 "주황 집게"(OC) 수컷으로 변태한다. OC 수컷은 두 번째 집게가 주황색이며, 몸길이의 0.8-1.4배 정도이다. OC 수컷은 이후 마지막 단계인 "푸른 집게"(BC) 수컷으로 변태할 수 있다. BC 수컷은 파란색 집게를 가지며, 두 번째 집게는 몸길이의 두 배까지 길어질 수 있다.[10]

수컷 징거미새우 사이에는 엄격한 서열이 존재한다. BC 수컷은 영역을 지배하며 OC 수컷을 지배하고, OC 수컷은 SM 수컷을 지배한다. BC 수컷의 존재는 SM 수컷의 성장을 억제하고 OC 수컷이 BC 수컷으로 변태하는 것을 늦춘다. OC 수컷은 이웃에서 가장 큰 BC 수컷보다 더 커질 때까지 계속 성장한 후 변태한다. 세 가지 수컷 형태형 모두 번식 능력이 있으며, 짝짓기 탈피를 한 암컷은 어떤 수컷과도 짝짓기를 할 수 있다. BC 수컷은 암컷의 껍질이 단단해질 때까지 보호하지만, OC 수컷과 SM 수컷은 이러한 보호 행동을 보이지 않는다.[3]

4. 양식 기술

동남아시아에서는 오랫동안 전통적인 방식으로 큰징거미새우를 양식해왔다. 1960년대 말레이시아에서 큰징거미새우의 인공 번식 기술이 개발되었고, 유생 생존에 기수가 필요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1] 1970년대 초 하와이에서 산업 규모의 양식 기술이 개발되어 대만, 태국 등으로 확산되었다.[11]

민물 새우 양식 기술은 기본적으로 바다 새우 양식 기술과 유사하다. 부화장에서 후기유생을 생산하여 유생 양육장으로 옮겨 성장시키고 출하 양식장 환경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출하 양식장에서는 판매 가능한 크기로 성장시킨다. 수확은 양식장 물을 빼고 새우를 모으거나, 그물을 사용하여 웅덩이에서 새우를 어획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1]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민물 새우 양식이 바다 새우 양식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덜하다고 평가한다. 민물 새우는 낮은 밀도로 사육되어 쓰레기 배출량이 적고 질병 발생 위험이 낮다. 또한, 출하 웅덩이는 내륙의 바다 새우 양식장처럼 농경지를 염화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면적당 생산량이 낮아 수익도 적기 때문에, 양식장 부지는 땅값이 낮은 지역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민물 새우 양식장은 맹그로브 지역을 침범하지 않으며, 소규모 가족사업에 적합하다.[11] 다만, 큰징거미새우는 바다 새우 양식종처럼 흰꼬리병 등 다양한 바이러스성, 박테리아성 질병에 취약하다.[14]

4. 1. 양식 밀도 및 관리

큰징거미새우는 공격적인 성향과 수컷 간의 서열 때문에 보리새우과의 새우들보다 양식 밀도가 훨씬 낮다. 집약 양식은 동족포식의 빈도를 높이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아서, 모든 양식장은 반집약적(평방미터 당 후기 유생 4-20 마리)이거나 조방적인 양식장에서 더더욱 낮은 밀도(평방미터 당 1-4 마리)로 사육한다.[11]

큰징거미새우의 성장 특성상 출하 양식장 관리는 쉽지 않다. 집게가 푸른 수컷(BC)의 존재는 작은 수컷의 성장을 억제하고, OC 수컷이 BC로 변태하는 것을 지연시킨다. 일부 양식장은 위망을 사용해 제일 큰 새우들을 잡아들여서 웅덩이의 개체 비율을 적절히 조절해 수확량을 최적화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웅덩이를 새로 채웠더라도 처음부터 성장 조절이 필수적이다. 어떤 수컷은 다른 수컷보다 더 빨리 자라 BC가 되어 다른 수컷들의 성장을 지연시킨다.[11]

5. 생태적 영향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는 민물 새우 양식이 바다 새우 양식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덜하다고 평가한다. 민물 새우는 훨씬 낮은 밀도로 사육되는데, 이는 같은 면적에서 쓰레기를 덜 배출하며 웅덩이가 질병의 온상이 될 위험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11] 출하 웅덩이는 내륙의 바다 새우 양식장처럼 농경지를 염화시키지 않는다. 하지만 면적당 생산량이 낮다는 것은 면적당 수확량도 낮으며 수익도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양식장 부지를 고를 때 굳이 집약형 양식을 할 필요가 없는, 땅값이 낮은 지역을 선택하게 된다. 민물 새우 양식장은 맹그로브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으며, 소규모 가족사업으로 꾸려나가기에 좀 더 적합하다.[4]

하지만 큰징거미새우도 바다 새우 양식종처럼, 흰꼬리병(백색근육증) 등[12][13] 다양한 바이러스성, 박테리아성 질병에 취약하다.[14]

6. 경제

2003년에 전 세계의 (가재를 제외한) 민물 새우 양식은 28만 톤에 달했고, 그 중에서 중국이 18만 톤을, 인도태국이 뒤를 이어 3만 5천 톤씩을 생산하였다.[9] 다른 주요 생산국은 방글라데시, 베트남이다. 미국에서는 2003년에 몇 백 개의 소형 양식장에서 ''M. rosenbergii''|큰징거미새우영어를 약 50톤 생산했다.[9]

참조

[1] 간행물 Farming Freshwater Prawns http://library.enaca[...]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428 2002
[2] 데이터베이스 FAO Fisheries Global Aquaculture Production Database http://www.fao.org/f[...] 2005-06-28
[3] 간행물 Grow-out Culture of Freshwater Prawns in Kentucky http://aquanic.org/p[...] 2000
[4] 웹사이트 Cultured Species Fact Sheet M. rosenbergii http://www.fao.org/f[...] FAO 2005-06-30
[5] 뉴스레터 Diseases of the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http://www.fisheries[...] AAHRI Newsletter 4(2), Aquatic Animal Health Research Institute, Bangkok University 1997-12
[6] 간행물 White tail disease of Macrobrachium rosenbergii http://library.enaca[...] NACA 2003
[7] 간행물 White Tail Disease - Disease Card http://library.enaca[...] NACA 2005
[8] 간행물 Farming Freshwater Prawns http://library.enaca[...]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428 2002
[9] 데이터베이스 FAO Fisheries Global Aquaculture Production Database http://www.fao.org/f[...] 2005-06-28
[10] 간행물 Grow-out Culture of Freshwater Prawns in Kentucky http://aquanic.org/p[...] 2000
[11] 웹사이트 Cultured Species Fact Sheet M. rosenbergii http://www.fao.org/f[...] FAO 2005-06-30
[12] 간행물 White Tail Disease - Disease Card http://library.enaca[...] NACA 2005
[13] 간행물 White tail disease of Macrobrachium rosenbergii http://library.enaca[...] NACA 2003
[14] 뉴스레터 Diseases of the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http://www.fisheries[...] AAHRI Newsletter 4(2), Aquatic Animal Health Research Institute, Bangkok University 199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